으로 끝나는 세 글자의 단어: 6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204개 💕세 글자: 61개 네 글자:204개 다섯 글자:102개 여섯 글자 이상:165개 모든 글자:737개

  • 피니 : (1)맞물리는 한 쌍의 크고 작은 톱니바퀴 가운데 작은 톱니바퀴. (2)작은 톱니바퀴.
  • 모리 : (1)16세기 유럽에서 병사들이 썼던 철로 된 투구. 크라운이 깊고 앞과 뒤 차양은 캡처럼 나와 있고, 옆의 챙은 밑으로 내려져 있고 정수리 부분에 볏 모양 장식이 높이 붙어 있다.
  • 포경 : (1)중국 서진(西晋)ㆍ동진(東晋) 때의 사상가(?~?). 노장 사상에 기반을 두고 무군론(無君論)을 주장하며 유교를 비판하였다. 그의 이론은 ≪포박자(抱朴子)≫에 잘 나타나 있다.
  • 레주 : (1)베트남의 정치가(1908~1986). 1951년에는 베트남 노동당 중앙 위원회 정치국원, 1960년에는 당 제일 서기였으며, 베트남 통일 후에는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 되었다. 저서에 ≪베트남 혁명≫이 있다.
  • 고시 : (1)조선 후기의 학자(1671~1734). 자는 국미(國美). 호는 성재(省齋). 경사(經史)에 통달하였고, 한시에 뛰어났다. 여항인들의 시를 모아 ≪소대풍요≫를 편찬하였다.
  • 부대 : (1)고려 시대에, 밀직사에 속한 정삼품 벼슬. 충선왕 2년(1310)에 부승지를 고친 것이다. (2)조선 시대에 둔 승정원의 정삼품 벼슬. 태종 원년(1401)에 부승지를 고친 것이다.
  • 불리 : (1)참과 거짓이라고 하는 논리값과 관련이 있는 것.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불값을 지원하기 위하여 데이터 타입을 제공하고 있지만, 시(C) 등과 같은 언어에서는 정수를 사용하여 불값을 대신하고 있다. 이런 경우에는 영(0)이 거짓을 의미하고 0이 아닌 값은 참을 의미하고 있다.
  • 불인 : (1)참혹하거나 비참하여 차마 말할 수가 없음.
  • 좌정 : (1)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종육품 벼슬. 예종 11년(1116)에 좌습유를 고친 것으로, 뒤에 사보(思補)로 고쳤다가 다시 이것으로 고쳤다. (2)조선 시대에, 사간원에 속한 정육품 벼슬.
  • 수식 : (1)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거나 한정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관형사와 부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 활용은 하지 않는다.
  • 본용 : (1)문장의 주체를 주되게 서술하면서 보조 용언의 도움을 받는 용언. ‘나는 사과를 먹어 버렸다.’, ‘그는 잠을 자고 싶다.’에서 ‘먹다’, ‘자다’ 따위이다.
  • 권두 : (1)책의 머리말.
  • 접속 : (1)앞의 체언이나 문장의 뜻을 뒤의 체언이나 문장에 이어 주면서 뒤의 말을 꾸며 주는 부사. 그러나, ‘그런데’, 그리고, 하지만 따위가 있다.
  • 이니 : (1)목덜미선 좌우 위쪽의 맨 위에 있는 볼록한 부분과 접하여 그려지는 선과 중간선과의 교차점에 있는 바깥 뒤통수뼈가 융기한 부분에 위치한 점.
  • 권미 : (1)책이나 논문의 끝에 그 내용의 대강이나 관련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 비니 : (1)로버트 로런스 비니언, 영국의 시인ㆍ미술사가(1869~1943). 동양 미술의 권위자로 대영(大英) 박물관 동양부장을 지냈다. 저서에 ≪동양의 회화≫, 시집 ≪전사자(戰死者)를 위하여≫ 따위가 있다.
  • 양사 : (1)조선 시대의 문신ㆍ서예가(1517~1584). 자는 응빙(應聘). 호는 봉래(蓬萊)ㆍ완구(完邱)ㆍ창해(滄海)ㆍ해객(海客). 안평 대군, 김구(金絿), 한호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사대 서예가로 꼽히며 시에도 능하였다. 저서에 ≪봉래시집≫이 있다.
  • 소방 : (1)하나의 방언을 세분화한 지역 방언. 예를 들어 동북 방언을 세분화한 함경남도 방언, 함경북도 방언, 양강도 방언 따위를 이른다.
  • 가동 : (1)한 부분이나 전체를 움직여 물의 높이나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 둑.
  • 대간 : (1)1640년 11월, 영국 장기 의회의 청교도 의원들이 찰스 일세에게 실정의 시정을 요구한 문서. 찰스의 실정을 열거하고 그 시정책을 제시했으며, 더 나아가 의회가 신임하는 인물을 대신으로 임명할 것과 교회 개혁을 위한 성직자 회의를 요구하였다.
  • 대납 : (1)‘다이나곤’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 캐니 : (1)가파른 절벽 사이에 있는 협곡. 강이 건조 지대의 지층을 침식할 때 형성되며, 협곡의 절벽은 수직에 가까운 각도를 유지한다.
  • 양수 : (1)하천의 수위 및 수심을 확보하고 수위 및 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하는 관측용 하천 공작물로서, 수문 현상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산림 유역 시험의 주요 시설의 하나.
  • 우정 : (1)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종육품 벼슬. 예종 11년(1116)에 우습유를 고친 것이다. (2)조선 시대에, 사간원에 속한 정육품 벼슬.
  • 검경 : (1)검찰, 경제계, 언론계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이진 : (1)발해의 사신(?~?). 727년 당나라에 파견되어 당으로 망명한 대문예를 죽여 줄 것을 요청하였다.
  • 엔디 : (1)컴퓨터가 다수의 바이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
  • 한방 : (1)고려 말기의 무신(?~?). 1361년 홍건적의 난 때 공을 세우고, 1378년에는 문하평리로 양광 전라 경상도 조전원수가 되어 영광, 광주 등지에 쳐들어온 왜구를 무찔렀다. 뒤에 상원수가 되어 북변(北邊)을 경계하고 왜구의 침입을 여러 차례 격퇴하였다.
  • 손여 : (1)남의 마음을 거스르지 아니하는 부드러운 말.
  • 우대 : (1)고려 시대에, 밀직사에 속한 정삼품 벼슬. 우승선을 고친 것으로, 충선왕 원년(1309)에 우승지로 고쳤다가 2년(1310)에 다시 이것으로 고쳤다. (2)조선 시대에, 승정원에 속한 정삼품 벼슬. 태종 원년(1401)에 우승지를 고친 것으로, 뒤에 다시 우승지로 고쳤다.
  • 아이 : (1)골프에서, 헤드를 금속으로 만든 클럽을 이르는 말. 치는 면의 각도에 따라 1번에서 9번까지의 종류가 있다.
  • 미디 : (1)통계 자료에서 변량을 크기 순서대로 늘어놓았을 때 그들의 한가운데 있는 값. 즉 전체 항을 이등분한 위치에 있는 값으로 통계 자료에서 대푯값의 하나이다. ⇒규범 표기는 ‘메디안’이다.
  • 진숭 : (1)발해의 사신(?~?). 825년 일본에 녹사(錄事)로 고승조와 동행하여 갔고, 일본으로부터 종오위상(從五位上)을 받았다.
  • 폐일 : (1)‘폐일언하다’의 어근.
  • 장혜 : (1)중국 청나라의 학자ㆍ문학가(1761~1802). 자는 고문(臯文). 호는 명가(茗柯). 전서(篆書)를 잘 쓰고, 경학(經學) 특히 역(易)과 예(禮)에 밝았으며, 고문(古文)을 잘 써서 양호파(陽湖派)라는 독자적인 문체를 이루었다. 저서에 ≪주역우씨의(周易虞氏義)≫, ≪의례도(儀禮圖)≫, ≪명가문(茗柯文)≫ 따위가 있다.
  • 인디 : (1)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인도로 잘못 생각한 데서 유래하였으며, 주로 외모는 황색 인종의 특성을 보이고 수렵ㆍ어업ㆍ농업에 종사한다.
  • 중납 : (1)‘주나곤’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 금반 : (1)영미법(英美法)에서, 일단 행한 표시나 행위를 번복할 수 없다는 원칙.
  • 사이 : (1)‘시온’의 다른 이름.
  • 챔피 : (1)운동 종목 따위에서, 선수권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 (2)기술 따위에서, 실력이 가장 뛰어난 사람.
  • 고요 : (1)진나라 이전의 고대 시대에 부르던 가요나 민요를 이르는 말. 문자가 쓰이기 이전에 구전되던 가요는 기록할 방법이 없었기에 옛 문헌 속에서 기록해 놓은 자료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 버니 : (1)존 버니언, 영국의 종교 작가(1628~1688). 뱁티스트파(Baptist派)의 설교자로서 국교파(國敎派)의 박해에 저항하여 활약하였다. 작품에 <천로역정>이 있다.
  • 일가 : (1)자기가 독자적으로 주장하는 견해나 학설.
  • 말씀 : (1)한자 부수의 하나. ‘語’, ‘誓’ 따위에 쓰인 ‘言’을 이른다.
  • 좌대 : (1)고려 시대에, 밀직사에 속한 정삼품 벼슬. 충선왕 2년(1310)에 좌승지를 고친 것이다. (2)조선 시대에, 승정원에 속한 정삼품 벼슬. 태종 1년(1401)에 좌승지를 고친 것으로, 세종 15년(1433)에 다시 좌승지로 고쳤다.
  • 칸티 : (1)독일 철학자 칸트의 철학을 계승하거나 그 영향을 받은 사람.
  • 주방 : (1)중국 북송(北宋)의 문장가(1056~1121). 자는 미성(美成). 호는 청진 거사(淸眞居士). 사(詞)에 뛰어나서 당나라의 문구를 교묘히 이용한 사풍(詞風)을 만들어 내었다. 남송(南宋) 완약파(婉約派)의 시조로, 사집(詞集)에 ≪편옥사(片玉詞)≫, 문집에 ≪청진집≫이 있다.
  • 분토 : (1)이치에 닿지 않는 말.
  • 백만 : (1)많은 말. 또는 모든 말.
  • 소납 : (1)‘쇼나곤’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 하구 : (1)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어귀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거나 바닷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강어귀 부근에 쌓은 댐.
  • 일류 : (1)둑 안에 물이 너무 많을 때에, 그 위로 물이 넘쳐흐르도록 만든 부분.
  • 김심 : (1)고려 초기의 학자(?~1018).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최승로와 함께 유학을 발전시키고 국가 체제 확립에 큰 공을 세웠다.
  • 관계 : (1)문장에 쓰인 단어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조사를 이르는 말.
  • 식불 : (1)음식을 먹을 때는 쓸데없는 말을 아니함.
  • 정불 : (1)참선할 때에 말을 하지 말라는 계율.
  • 독립 : (1)독립적으로 쓰이는 감탄사를 이르는 말.
  • 각락 : (1)홈을 파서 마주 세운 두 개의 기둥 사이에 모 난 긴 나무토막들을 내리 끼워 물을 막는 장치.
  • 무이 : (1)두말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한번 한 말에 대해서는 절대로 어기지 않음을 이르는 말.
  • 오천 : (1)중국의 도가서. 춘추 시대 말기에 노자가 난세를 피하여 함곡관에 이르렀을 때 윤희(尹喜)가 도를 묻는 데에 대한 대답으로 적어 준 책이라 전하나, 실제로는 전국 시대 도가의 언설을 모아 한(漢)나라 초기에 편찬한 것으로 추측된다. 내용은 우주 간에 존재하는 일종의 이법(理法)을 도(道)라 하며, 무위(無爲)의 치(治), 무위의 처세훈(處世訓)을 서술하였다.
  • 고정 : (1)위에 수문을 설치하지 아니한 보.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언으로 시작하는 단어 (953개) : 언, 언가, 언가이, 언간, 언간독, 언간이, 언간체, 언간하다, 언간히, 언감, 언감생심, 언감히, 언강, 언강다리, 언강쉬, 언강쟁이, 언거번거, 언거번거하다, 언거언래, 언거언래하다, 언건, 언건하다, 언건히, 언걸, 언걸먹다, 언걸입다, 언견, 언견하다, 언경, 언경하다 ...
언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95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언으로 끝나는 세 글자 단어는 6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